Surprise Me!

[자막뉴스] 서울 입주·분양권 어쩌나..."관련 통계 시작 이후 처음 있는 일" / YTN

2022-09-18 6 Dailymotion

서울 마포구의 한 아파트 건설 현장입니다. <br /> <br />오는 12월 입주를 앞두고 막바지 공사가 한창입니다. <br /> <br />입주권과 분양권 매물만 70건이 넘지만, 7월 이후 거래가 끊겼습니다. <br /> <br />[공인중개사 (서울 마포구) : 많이 뜸하죠. 거래가 거의 뭐 전무하다고 보시면 될 거 같아요. (시장이) 조정을 받는 상태라서 시장 분위기상으로는 좀 더 빠질 수 있다고 보고 있죠.] <br /> <br />서울 전 지역으로 범위를 넓혀도 사정은 비슷합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서울에서 이뤄진 입주권이나 분양권 거래는 한 건도 없습니다.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6년 이후 처음 있는 일입니다. <br /> <br />올해 1월부터 7월까지만 봐도 서울에서 이뤄진 관련 거래는 52건으로, 지난해 같은 기간 210건보다 크게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 입주·분양권 거래량은 2018년 천4백여 건이었지만, 지난해 150여 건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세계적 현상인 경기 침체와 금리 인상 등이 뒤섞여 작용했다는 게 업계 진단입니다. <br /> <br />[이은형 /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 : 주택 시장이 좋을 때는 분양권과 입주권 매매가 매우 좋은 투자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.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같은 거래 저해 요소와 함께 일각에서 제기되는 주택 가격의 하락 주장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입니다.] <br /> <br />여기에 투기과열지구는 최대 5년까지 전매를 제한하는 규제 등도 거래 감소의 원인 중 하나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[권영선 / 주택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 : 전매를 제한하는 규제 영향이 컸다고 봅니다. 현재로써는 시장이 안 좋은 상황이기 때문에 1년간은 이런 추세를 유지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.]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전매 제한 같은 규제가 투기를 막는 효과가 있지만, 주택 수급 저해 요인이 될 수도 있는 만큼 시장 상황에 따라 융통성 있게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. <br /> <br />YTN 최기성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918110215716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